OS18 CentOS 리눅스 : 연습문제 해답 (4장) 1.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셸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은 무엇인가? - ② /etc/passwd 2. 현재 a.txt 파일의 내용이 다음과 같다. 이 상태에서 ls /tmp >> a.txt 명령을 수행하면 a.txt 파일의 내용은 어떻게 되는가? - ④ 기존 내용은 남아있고, /tmp 디렉터리의 내용이 추가된다. 3. 계정의 기본 프롬프트가 저장되는 환경 변수는 무엇인가? - ① PS1 4. 셸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1. 명령어 해석기 : 가장 기본적인 기능,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을 해석하고 전달. 2. 프로그래밍 : 자체에 프로그래밍 기능이 내장되어있다. 만들어진 셸 프로그램은 셸 스크립트. 3. 사용자 환경 설정 : 사용자 환경 설정할 수 있도록 초기화 파일 기능을 제공. 5.. 2022. 5. 3. CentOS 리눅스 : 연습문제 해답 (2장) 1. 현재 디렉터리를 표현하는 기호는 무엇인가? - ② . (마침표) 2. 현재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를 알려주는 명령은 무엇인가? - ③ pwd 3. 다음 괄호를 채우시오. - 상대 경로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 ' / ' ) 이외의 문자로 시작하며 상위 디렉터리는 ( ' .. ' )로 표시한다. 4. 파일의 네 가지 종류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 일반 파일 : 각종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2. 디렉터리 : 디렉터리도 파일.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 3. 심볼릭 링크 : 원본 파일을 대신하도록 다른 파일명으로 지정한 것. 윈도우의 바로가기 파일과 비슷함 4. 장치 파일 : 시스템에 부착된.. 2022. 4. 28. CentOS 리눅스 : 디렉터리와 파일 사용법 (2장) ■ 리눅스의 파일과 디렉터리 - 파일의 종류 1. 일반 파일 : 각종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2. 디렉터리 : 디렉터리도 파일.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 3. 심볼릭 링크 : 원본 파일을 대신하도록 다른 파일명으로 지정한 것. 윈도우의 바로가기 파일과 비슷함 4. 장치 파일 : 시스템에 부착된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특수 파일. 보통 /dev 디렉터리에 위치 - 디렉터리의 계층 구조 트리 구조를 사용해 디렉터리를 계층적으로 구성. 루트 디렉터리(/) 밑에 서브 디렉터리들로 구성되어있다. - 절대 경로명과 상대 경로명 경로명이란? 디렉터리의 위치를 구분자 /로 표현하는 것. 두가지 표현법이 있다. 절대 경로명 : 항상 루트.. 2022. 4. 28.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가상 메모리 관리 (9장) ■ 요구 페이징 · Process가 요청할 때 메모리로 가져오는 것 →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 응답 속도 향상의 이유로 process 일부만 가져옴 (나머지는 필요할 때) ■ 가상 메모리 · 물리 메모리 + 스왑 영역 (Harddisk or 메모리 관리자의 영역) → 스왑-in : 메모리로 data를 가져오는 것 ↔ 스왑-out ■ Flag Bit (Access-Modifed-Valid-Read-Write-Excute bit) · 접근 비트(참조 비트) : 페이지의 사용 여부 · 변경 비트 : 페이지의 변경 여부 · 유효 비트(현재 비트) : 요구하는 페이지의 위치를 표시 → 0 : 메모리에 위치, frame num 저장 / 1 : 스왑 영역에 위치, page의 주소 저장 · 읽기, 쓰기, 실행 비트.. 2021. 10. 29.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컴퓨터의 구조와 성능 향상 (2장) ■ 컴퓨터의 기본 구성 · 필수장치 : CPU, 메인 메모리 · 주변장치 : 입력장치, 출력장치, 저장장치 ■ 하드웨어의 구성 · CPU :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 · 메인 메모리 :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 / byte 단위, 주소로 구분 · 저장장치 : 메모리에 비해 속도↓, 가격↓, 용량↑ / 데이터 영구 저장 · 메인 보드 : 다양한 부품을 연결하는 판 / 버스로 연결 ■ 폰 노이만 구조 ·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위치시킴, 버스로 장치들이 연결된 구조 → 메모리가 유일한 작업 공간, 모든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 가능 ■ 관련 용어 · 클록(clock) : CPU의 속도와 관련 / 클록에 맞춰 CPU가 작업 · 헤르츠(Hz) : 클록 틱이 발생하는 속도 단위 · 시스템 버스(FSB) : 메.. 2021. 10. 29.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운영체제의 개요 (1장) ■ 정의 ·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 ■ 운영체제의 필요성 · OS가 없어도 작동은 가능하다 (ex. 에니악) · 컴퓨터의 성능 향상, 효율적인 자원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 역할 1. 자원 관리 : 자원을 응용 프로그램에게 분배·회수한다. 2. 자원 보호 : 비정상적인 작업(다른 영역 침범 등)을 방지한다. 3.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제공 : 드라이버를 자동 설치함으로 HW 상관없이 사용 가능케 한다. 4.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 사용자가 운영체제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목표 1. 효율성 : 같은 자원으로 많은 작업을, 같은 양의 작업을 더 작은 자원으로 가능하게 한다. 2. 안정성 3. 확장성 : 다양한 자원의 추가·제거.. 2021. 9. 2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