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공부43 Http&Network Basic : 웹을 안전하게 지켜주는 HTTPS (7장) 🌐 웹을 안전하게 지켜주는 HTTPS 7.1 HTTP의 약점 7.1.1 평문이기 때문에 도청 가능 HTTP는 암호화하는 기능이 없다. TCP/IP는 통신 경로 상 모든 기기를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도청이 가능하다. 패킷을 수집함으로 도청을 할 수 있다. 이때, 패킷 캡처나 스니퍼라는 툴을 사용한다. 암호화를 통해서 도청을 방지한다. 통신 암호화 : SSL, TLS이라는 다른 프로토콜을 조합해 안전한 통신로를 확보하고 통신한다. 콘텐츠 암호화 : 콘텐츠 자체를 암호화한다. 주로 웹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방법이다. 7.1.2 통신 상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위장 가능 HTTP 통신은 상대를 확인하지 않는다. 누구나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는 모두 응답한다. SSL은 암호화도 지원하지만 상대를 확인하는 .. 2023. 6. 27. Http&Network Basic : HTTP와 연계하는 웹 서버 (5장) 🙋 HTTP와 연계하는 웹 서버 5.1 1대로 멀티 도메인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호스트 HTTP/1.1에서 가상 호스트를 사용하면 1대의 서버로 여러 서버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특정 도메인으로 호출해도 IP주소로 변환되어 서버로 도착한다. 따라서 어떤 도메인을 요청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구분할 방법을 같이 요청해야 한다. ex. 호스트명과 도메인을 완전히 포함한 URI / Host 헤더 필드 지정 5.2 통신을 중계하는 프로그램 : 프록시, 게이트웨이, 터널 HTTP는 통신을 중계하는 프로그램과 서버를 연계할 수 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요청에 대해서 응답을 반환한다. 프록시 중간 다리 역할을 수행한다. 요청은 서버로 넘기고, 응답은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받은 요청의 URI를 변경하지 않는다. .. 2023. 6. 13. Http&Network Basic : 간단한 프로토콜 HTTP (2장) 🌐 간단한 프로토콜 HTTP 2.1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통신을 한다 HTTP에선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명확하게 구별한다. 2.2 리퀘스트와 리스폰스를 교환하여 성립 항상 요청에 따른 응답이 돌아온다. 요청은 메서드, URI, 프로토콜, 헤더 그리고 바디로 이루어져 있다. 2.3 HTTP는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 HTTP는 상태를 가지지 않는다. 즉, 항상 새로운 요청과 응답이 생성된다. 웹이 진화함에 따라 추가적인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어려워 쿠키라는 개념이 탄생했다. 2.4 리퀘스트 URI로 리소스를 식별 URI를 자원이라고 표현한 이유이다. 받은 요청의 URI로 서버 특정 자원을 식별한다. 2.5 서버에 임무를 부여하는 HTTP 메서드 보통 REST API를 사용하므로 간단하게 알아.. 2023. 5. 30. Http&Network Basic : 웹과 네트워크의 기본 (1장) 😱 웹과 네트워크의 기본 1.1 웹은 HTTP로 나타낸다. 브라우저에 지정된 URL을 입력해 서버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까지의 흐름을 결정하는 것이 HTTP라는 프로토콜이다. 프로토콜은 약속이다. 1.2 HTTP는 이렇게 태어났고 성장했다. 1989년에 지식 공유를 위해서 HTTP가 탄생했다. 🌐 WWW (World Wide Web)을 구성하기 위해서 HTML, HTTP, URL의 개념이 등장했다. 웹의 발전으로 많은 기업들이 경쟁하면서 다양한 브라우저가 등장했고 통일된 규칙이 필요해졌다. 오늘날 많이 사용하는 HTTP/1.1 버전은 꽤 오래전에 등장했다. 1.3 네트워크의 기본은 TCP/IP HTTP의 기본은 TCP/IP 프로토콜이다. 각 계층 간 데이터가 이동할 때 추가적.. 2023. 5. 30. [AWS] AWS 인프라 구축하기 - RDS (2) 🤗 AWS 구축하기 2 저번에는 사용할 EC2 인스턴스를 만들었다. 이번에는 데이터베이스를 위해서 RDS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EC2에 연결해 줄 생각이다. EC2와 마찬가지로 내가 항상 켜둘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1편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단순한 기록이니까 보시는 분은 가볍게 참고만 하시면 되겠다..! 🧳 RDS 1️⃣ 데이터베이스 생성 프로젝트에서 DBMS로 MySQL을 사용하므로 MySQL을 선택했다. 그리고 무료 버전을 선택해 준다! 2️⃣ 기본 설정 여기서 설정하는 값들은 실제로 DB에 접근할 때 사용되는 값이다! 입력하고 까먹지만 않으면 된다. 😋😋 3️⃣ 스토리지 설정 프리 버전에서는 크게 설정할 내용이 없다! 하지만 스토리지 자동 조정 부분은 체크를 해제해야 추가적인 .. 2023. 4. 4. TIL : 위상정렬 알고리즘 (21) 💻 알고리즘 📌 위상정렬 알고리즘 Cycle이 없는 방향 그래프에서 작업 순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이전에 공부한 적 있으나 기록을 남겨두지 않아서 남겨두려고 한다. 💡 특징 순환하지 않는 방향 그래프에서만 가능하다. 진입 차수 (in-degree) 또는 진출 차수 (out-degree)를 이용한다. 여러 개의 답이 존재할 수 있다 O(V+E)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 동작 원리 (진입차수 ver) 진입 차수가 0인 정점을 큐에 넣는다. 큐에서 원소를 꺼내 연결된 간선을 제거한다. 진입 차수가 0이라면 해당 정점을 큐에 삽입한다. 마지막에 Cycle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 결과의 크기가 정점의 개수보다 작다면 Cycle이 존재하는 것이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 2023. 3. 3. 이전 1 2 3 4 5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