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1

CentOS 리눅스 : 연습문제 해답 (8장) 1. 리눅스의 부팅 단계를 올바로 나열한 것은 무엇인가? - ④ 바이오스 단계 → 부트 로더 단계 → 커널 초기화 단계 → systemd 단계 → 로그인 프롬프트 출력 2. 런레벨 중 재시작을 지시하는 런레벨은 무엇인가? - ③ 6 3. 1분 후에 시스템을 재시작하도록 설정한 명령은 무엇인가? - ② shutdown -r +1 4. 리눅스의 부팅 과정을 5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Step 1. 바이오스 : 기본적인 HW의 상태를 확인하고 부팅 장치를 선택하여 부팅 디스크의 첫 섹터에서 512B를 로딩 Step 2. 부트 로더 : OS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제공 Step 3. 커널 초기화 : 장치 검사 이후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생성 Step 4. systemd 서비스 : 데몬을 실행한 뒤 그래픽 로그인 .. 2022. 6. 17.
CentOS 리눅스 : 리눅스의 부팅과 종료 (8장) ■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PC의 전원이 켜지는 순간부터 로그인 프롬프트가 출력될 때 까지가 리눅스의 부팅이다. 부팅 과정은 PC 부팅과 리눅스 부팅으로 나뉜다. - 바이오스 단계 PC의 전원 스위치를 키면 ROM에 저장된 바이오스가 가장 먼저 동작한다. 이 단계에서 HW 검사 → 부팅 장치 선택 → MBR 로드 → 부트 로더 로드 의 작업을 수행한다. - 부트 로더 단계 MBR로 인해 부트 로더가 메모리에 올라가면 부팅할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리눅스 커널을 메모리에 로딩한다. - 커널 초기화 단계 부트 로더로 로딩된 커널은 메모리,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등에 대해 장치 검사*를 하고 fork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생성한다. 이후 systemd 서비스를 동작한다. 장.. 2022. 6. 17.
CentOS 리눅스 : 연습문제 해답 (7장) 1. 다음 중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 ① proc / proc은 가상 파일 시스템 2. 디스크를 새로 장착하고 사용하기 위한 작업 순서로 맞는 것은 무엇인가? - ② 디스크 파티션 생성 → 디스크 포맷 → 디스크 마운트 3. 부팅할 때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은 무엇인가? - ③ /etc/fstab 4.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과 가상 파일 시스템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 : 디스크, DVD 등 저장 장치에 생성되어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가상 파일 시스템 : 디스크가 아닌 메모리에서 생성되어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 5. 유닉스에서 유래된 파일 시스템의 공통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 1. 파일을 inode로 관리 2. 디렉터리.. 2022. 6. 17.
CentOS 리눅스 : 파일 시스템과 디스크 관리 (7장) ■ 리눅스 파일 시스템 종류 파일 시스템이란? 파일과 디렉터리의 집합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체계 - 리눅스 고유의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 초기에 미닉스의 파일 시스템 (MFS)를 이용했으나, 이후 고유 파일 시스템인 ext을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다. 대용량 파일 시스템을 위해 XFS도 도입했다. CentOS 7부터 XFS과 ext4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1. ext (Extended File System) : 92년 출시. Linked list로 구현되어 문제가 많다. (파편화, 복잡한 시스템) 2. ext2 : ext 기반으로 문제점을 고치고 확장성을 고려했다! 현재까지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 3. ext3 : ext2 기반으로 호환가능 (바로 이식 O). 가장 큰 특징은 저널링* 기능 도입이다. 데이.. 2022. 6. 16.
CentOS 리눅스 : 연습문제 해답 (6장) 1. 다음 중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 ④ 프로세스는 UID라는 번호를 가지고 있다. 2. 명령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명령 다음에 추가하는 특수문자는 무엇인가? - ② & 3. 사용자 계정이 at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 ④ /etc/cron.allow 파일과 /etc/cron.deny 파일이 모두 없다. 4. 일반 프로세스와 데몬 프로세스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일반 프로세스 : 명령이 끝나면 소멸된다. 데몬 프로세스는 대기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만 동작한다. 명령이 끝나면 소멸하지 않고 대기 상태로 돌입 5. ps -f 명령의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프로세스의 부모-자식 관계를 설명하시오. - 부모 -bash → sh → vi .. 2022. 5. 4.
CentOS 리눅스 : 프로세스 관리 (6장) ■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란?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다중 프로세스 시스템 - 프로세스의 부모-자식 관계 리눅스의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자식 관계 (ex. 셸에서 vi 실행 → 부모 : 셸, 자식 : vi) 자식 프로세스는 할 일이 끝나면 부모에게 결과를 돌려주고 종료한다. - 프로세스의 번호 PID란? 각 프로세스의 고유 번호. 1번부터 시작해서 프로세스 실행마다 증가된다. - 프로세스의 종류 1. 데몬 프로세스 : 특정 서비스 제공용. 평소에 대기하다가 요청 시 동작. 커널에 의해 실행된다. 2. 고아 프로세스 : 부모 프로세스가 먼저 종료된 경우. 1번 프로세스가 부모가 되어 종료를 돕는다. 3. 좀비 프로세스 : 종료되었는데도 프로세스 테이블 목록에 있는 경우. 부모.. 2022.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