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19 TIL : Bean 컨테이너와 ComponentScan (22) 🎛️ ApplicationContext 스프링에서 핵심인 ApplicationContext는 Bean을 관리해준다. 싱글톤 레파지토리로도 불리는데 Bean을 싱글톤으로 관리해주기 때문이다. 우리가 작성한 설정 정보를 적용시키려면 @Configuration을 붙여준다. 여기에 싱글톤의 비밀이 들어있다. 설정 정보는 우리가 작성한 순수 자바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되는 것이 아니다. 작성한 자바 클래스를 상속받는 임의의 다른 클래스를 만들고 빈으로 등록한다. 여기서는 CGLIB라는 바이트코드 조작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CGLIB 라이브러리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빈이 존재하면 기존 인스턴스를 반환하고 아니라면 생성할 수 있도록하는 클래스로 변환될 것이다. 따라서 @Configuratio.. 2023. 5. 17. [토비의 스프링] 테스트 (2장) 2.1 UserDaoTest 다시 보기 2.1.1 테스트의 유용성 UserDao에서 관심을 분리하고 기능을 확장할 때 테스트가 없었다면 불안했을 것이다.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는 방법은 100%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테스트란 내가 예상하고 의도했던 대로 코드가 정확히 동작하는지 확신할 수 있게 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2.1.2 UserDaoTest의 특징 웹을 통한 DAO 테스트 방법의 문제점 웹 화면을 통한 테스트는 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이지만 단점이 너무 많다. 테스트를 위해 사용되는 자원이 많기 때문에 DAO만 테스트하고 싶은데 다른 곳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작은 단위의 테스트 테스트 수행 과정을 간단히 하고 오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작은 단위로 쪼개는 것이 중요하다.. 2023. 1. 16. TIL : @PathVariable vs @RequestParam (20) 🌞 Spring Spring에서 URI로 전달되는 값을 받아오는 방법이 두 가지 존재한다. id가 1인 게시글을 가져올 때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GET http://xxx.xxx.xxx/api/post?id=1 // query parameter GET http://xxx.xxx.xxx/api/post/1 // path variable 딱 보면 다른데 자세하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RequestParam GET http://xxx.xxx.xxx/api/post?id=1 이렇게 URI에 쿼리가 들어가는 방식일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일반적으로 Http GET Method에서 많이 사용한다. 조금 더 자세하게 들어가면 다음 4가지 경우로 많이 사용한다. 1️⃣ Searching @Ge.. 2023. 1. 10.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고급 매핑 (7장) 📌 상속 관계 매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는 상속이 없다. 그나마 '슈퍼타입-서브타입 관계' 모델링 기법이 상속과 비슷하다. 즉, ORM에서의 상속 관계 매핑은 이 모델링 기법이고 3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조인 전략 : 각각을 모두 테이블로 만들고 조회 시 조인을 사용한다. 단일 테이블 전략 : 테이블을 하나만 사용해 통합한다. 구현 클래스 테이블 전략 : 서브 타입마다 하나의 테이블을 만든다. 1️⃣ 조인 전략 모두 테이블로 만들고 자식 테이블이 부모 테이블의 기본 키를 받아 기본 키 + 외래 키로 사용한다. 테이블은 타입의 개념이 없어 타입을 구분하는 칼럼을 추가해야 한다. @Entity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JOINED) // 상속의 부모 클.. 2022. 12. 12. [Spring] AOP (feat. Proxy Pattern) ✍️ 학습 목표 AOP 이해하기 프록시 패턴이란? 📌 AOP Spring의 핵심 전략 중 하나인 AOP는 Asp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이다. AOP은 횡단 관심사의 분리를 허용함으로써 모듈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정의는 역시 전혀 와닿지 않는다. 그림으로 이해해보자. 🧷 Before AOP 위 그림을 보면 각 클래스들은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구현하면 A 클래스에 구현된 주황색 코드를 수정하게 된다면 클래스 B, C에 구현된 모든 코드를 수정해야 한다. 당연히 중복된 모든 코드를 수정하기 힘들 것이고 나아가 유지보수도 힘들 것이다. 🧷 After AOP AOP를 적용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이 중복된 코드를 모듈화하여 .. 2022. 9. 21. [Spring] Servlet, 서블릿 ✍️ 학습 목표 Servlet 이해하기 Servlet Container 알아보기 📌 Servlet MVC 패턴에서 사용되는 Controller는 Servlet을 활용한 기술이다. 따라서 MVC 패턴을 준수하는 스프링 공부하기 위해선 Servlet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다. Servlet이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로 반환해주는 Java 기반의 CGI이다. CGI : 웹 서버 상에서 User Program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합 ✔️ Servlet의 특징 결국 Servlet은 기존 웹 서버의 문제를 개선하고 동적인 여러 기능을 지원한다. 너무 기계적으로 적어둔 글이 많아서 핵심만 요약했고, 내용은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정적으로 작동하던 기존의 웹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보완.. 2022. 9. 15. 이전 1 2 3 4 다음